top of page
최신 뉴스

2025년 9월 17일

피타바스타틴, 혈당 악화 우려 덜어…에제티미브 병용도 효과

2025년 9월 11일

스타틴,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예방

2025년 9월 18일

물 하루 6~8잔, 고혈압 관리 도움…너무 많이 마셔도 혈압 올라

2025년 9월 17일

'콜록콜록' 감기인줄 알았는데 숨찬다면…'이 병' 의심을

2025년 9월 18일

"작년과 다르네" 가늘고 긴 코로나 유행에 약국들 촉각

물 하루 6~8잔, 고혈압 관리 도움…너무 많이 마셔도 혈압 올라

2025년 9월 18일

동아닷컴

AI 요약본

고혈압은 증상 없이 진행돼 심장병, 뇌졸중, 신부전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관리가 중요하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탈수를 막아 혈액량과 나트륨 농도를 안정시켜 혈압 조절에 도움을 준다. 


하루 6~8잔의 물 섭취가 권장되며, 비트 주스·토마토 주스·석류 주스 등도 혈압 관리에 효과적이다.


 다만 수분 과잉은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하며, 식습관 개선·운동·금연·수면 관리 등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린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심장병, 뇌졸중, 신부전 같은 무서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은 혈액이 동맥과 정맥벽에 가하는 압력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고혈압으로 진단된다.

고혈압은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적절한 수분 섭취도 큰 힘이 될 수 있다.

물은 어떻게 혈압을 낮출 수 있을까?

일부 상황에서는 물을 마시는 것이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탈수 상태일 때 효과적이다. 2002년 연구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는 대체로 체내 수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건강 전문 매체 헬스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수분 섭취가 탈수를 예방함으로써 혈압 조절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한다. 우리 몸의 혈액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다. 수분이 부족하면 혈액량이 줄어들고, 나트륨 농도가 높아져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오를 수 있다. 충분히 물을 마셔 탈수를 막으면 이런 현상을 예방하고, 혈압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물, 얼마나 마셔야 할까?

일반적으로 하루 6~8잔(약 1.5~2리터) 정도가 권장된다. 여러 연구에서 이 정도의 수분 섭취가 혈압 관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필요한 수분 섭취량은 개인별로 다르다. 이를 결정하는 요인은 나이, 성별, 체중, 날씨(더울수록 필요 수분량 증가), 신체 활동량, 임신 또는 모유 수유 여부 등이다.

bottom of page